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오래된 설비를 교체하려는 섬유기업을 대상으로 정부가 최대 1억 원을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는 국내 섬유업계의 저탄소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24년도 섬유소재 공정 저탄소화 기반조성 사업의 참여기업 모집을 2월 7일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
섬유소재 공정 저탄소화 기반조성 사업은 섬유제조 공정의 저탄소화 설비구축 지원을 통해 산업부문 온실가스 배출 저감에 기여하고 섬유산업 전반에 저탄소화 공정 확산을 목적으로 한다.
직물·섬유제품업체 12개사, 염색가공업체 10개사 등 섬유소재기업 22개사 이상을 대상으로 온실가스(CO2) 8,932톤 저감을 목표로 사업비는 국비 22억 원, 지자체 및 기업부담 9.4억 원이다.
섬유산업은 제조업 중 철강, 석유화학, 광물, 시멘트에 이어 온실가스(이산화탄소) 배출이 많은 업종으로서, 특히 원단제조 및 염색 과정에서 전체 공정의 절반 이상의 탄소가 배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기압축기, 염색기, 건조기, 텐터기(천의 폭을 팽팽하게 펴서 말리거나 다리면서 원단을 뽑아내는 기계) 등이 대표적으로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설비이다.
2021년 WRI(WORLD RESOURCES INSTITUTE)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섬유산업 탄소배출량은 10.25억 톤(100%)으로 공정별로 봤을 때 ①원료 생산 2.41억 톤(24%) → ②원사·실 제조 1.56억 톤(15%) →③원단제조 및 염색 5.36억 톤(52%)→④완제품 제조 0.91억 톤(9%) 순이다.
최근 글로벌 섬유패션업체들은 높은 수준의 저탄소화 기준을 요구하고 있으나 국내 섬유기업들은 10인 미만 영세기업 비중이 88.6%를 차지할 정도로 대부분 중소‧영세업체들로서 이러한 대응에 취약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 산업부는 섬유기업의 에너지 재활용, 효율 개선 등 저탄소화 설비 교체를 위해 최대 1억 원의 범위 내에서 중소‧중견기업은 비용의 70%, 대기업은 50%까지 기업 규모별로 지원한다.
기업선정은 현장 확인을 포함한 평가를 통해 지원기업 선정하며, 선정된 업체는 탄소감축 전문가의 컨설팅(자문)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기업이 희망하는 경우 탄소감축 효과에 대한 확인서도 발급 받을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산업부 홈페이지(www.motie.go.kr)와 한국섬유수출입협회(www.textra.or.kr)에서 확인 가능하다.
김상현 기자 tinnews@tinnews.co.kr <저작권자 ⓒ TIN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섬유패션산업 발전과 함께하는 경제전문 언론 TIN뉴스 구독신청 >
이 기사를 후원하고 싶습니다.독자님의 작은 응원이 큰 힘이 됩니다.후원금은 인터넷 신문사 'TIN뉴스' 발전에 쓰여집니다.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