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패션을 대표하는 국내 디자이너들이 다가오는 가을, 겨울 패션 트렌드를 선보이는 국내 최대 규모 패션행사 23 F/W 서울패션위크가 15일(수)부터 19일(일)까지 5일간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진행된다.
전 세계 패션피플들이 DDP에 집결하는 이번 서울패션위크 기간에는 화려한 무대 디자인으로 구성된 수준 높은 패션쇼와 23개국 130여명의 해외바이어가 참여해 5일간 1천 건의 상담을 진행하는 트레이스쇼가 함께 진행된다.
서울을 대표하는 23개 서울컬렉션 디자이너부터 제너레이션 넥스트 7개 신진 디자이너까지 총 30개의 디자이너 브랜드의 패션쇼와 1개의 국내 기업 패션쇼가 선보인다.
모든 패션쇼는 100% 현장 패션쇼로 개최되며, 현장에서 뿐만 아니라 서울패션위크 공식 유튜브 채널(https://www.youtube.com/@SFW_official)을 통해 온라인에서 동시 생중계되어, 패션에 관심 있는 일반시민은 누구나 실시간으로 만나볼 수 있다.
2023 서울패션위크 관전 포인트는 ▲22년 만에 달라진 무대 디자인과 다양한 연출 ▲코로나 이후로 최대 규모의 트레이드쇼 ▲기업 X 디자이너 개방형 협업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DDP 시민참여 프로그램과 기업기획전 ▲디자이너 제품을 쉽고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는 CJ온스타일 온라인 기획전 등 총 5가지로 꼽을 수 있다.
이번 서울패션위크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변화는 ‘무대’ 디자인이다. 아트홀1관은 보다 생동감 넘치는 관객 경험을 선사하기 위해 ‘원형’으로 무대를 바꿨으며, 아트홀2관은 대형LED를 설치해 한층 더 선명하고 영상미가 극대화된 쇼 연출이 가능해졌다.
31개의 참여 브랜드들은 새로워진 무대를 활용하여 공연, 오브제, 기업과의 콜라보레이션 등을 통해 다양하고 개성 강한 런웨이를 선보인다.
서울패션위크의 시작을 알리는 오프닝 무대는 15일(수) 13시에 ‘얼킨(ul:kin)’의 컬렉션을 시작으로, 총 5명의 디자이너가 패션쇼를 선보인다. 특히, 이날 오프닝 전 공식포토콜 행사에는 서울패션위크를 주최하는 서울시를 대표해 오신환 정무부시장과 서울패션위크 글로벌 홍보대사 ‘뉴진스’가 참석해 자리를 빛낸다.
시대의 화두인 친환경 가치 실현에 앞장서고 있는 업사이클링 기반 브랜드 ‘얼킨’은 2014년 버려진 그림을 활용한 디자인을 선보이며 브랜드를 론칭했으며, 올해 F/W 서울패션위크 참가 브랜드선정 심사위원 최고점수를 받으며 오프닝 무대에 선정되었다.
3월 19일(일) 박윤수 디자이너의 ‘빅팍’ 패션쇼 이후에는 이번 패션쇼에 참가한 모든 브랜드들의 대표작품 3개 착장을 한자리에서 선보이는 피날레 패션쇼가 펼쳐지며, 피날레 공연인 뮤지컬 배우 강홍석의 ‘Be yourself 스페셜 스테이지’로 화려한 대장정을 마무리 한다.
배우 강홍석은 뮤지컬 ‘킹키부츠’ 초연때부터 참여해 최장수 ‘롤라’로 뜨겁게 활약했으며, 뮤지컬 ‘데스노트’ 류크 역할을 통해 2023년 제7회 한국뮤지컬어워즈 남우조연상 수상한 바 있다. ‘Be yourself 스페셜 스테이지’에는 강홍석 배우 외에 김준래, 전호준, 한준용, 최대훈 배우가 함께한다.
22년차를 맞이한 올해 서울패션위크에서는 199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의 한국 패션의 흐름을 볼 수 있는 디자이너 컬렉션 아카이브 영상이 선보인다. 패션쇼 기간 중 쇼 관람객이라면 아트홀에서 누구나 관람 가능하며, 서울패션위크 참여 디자이너들의 23 S/S 시즌 컬렉션도 디지털 영상으로 함께 확인할 수 있다.
서울패션위크가 열리는 동안 코로나 이후 최대 규모인 총 67개 국내 유수 디자이너 브랜드와 신진 디자이너가 참여하는 트레이드쇼(수주박람회)도 DDP에서 진행된다.
서울패션위크 패션쇼 브랜드 23개(서울컬렉션 16개, 제너레이션넥스트 7개)를 포함한 의류 49개, 패션잡화 7개, 주얼리 11개, 총 67개 유수 디자이너 브랜드가 참여하며, 한국섬유산업연합회의 소재 전시관도 함께 조성된다.
트레이드쇼는 ▲전문 바이어와 디자이너 간의 수주 상담․계약 등 실질적인 비즈니스가 이뤄지는 수주상담 ▲기업과 디자이너 브랜드 협업과 네트워킹을 위한 밋업(‘Meet-up’), ▲기업 역량 강화를 위한 세미나와 상담 ▲시민 참여 퍼블릭데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주상담회는 해외 구매자(바이어)와의 온․오프라인 상담과 국내 구매자(바이어)와의 오프라인 상담 두 가지로 진행되며, 상담은 각 브랜드별 부스에서 진행한다. 초청된 해외 바이어는 사전에 브랜드와 1:1매칭 작업을 진행하여 총 1,000여 건의 수주상담이 행사 기간 동안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트레이드쇼에는 23개국 130여명의 해외 구매자(바이어)와 국내 온라인 플랫폼‧백화점 바이어, 유통사, 투자사 100여명 등 총 1,100명 이상의 국내외 패션 관계자들의 방문이 예상돼 국내 패션업계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해외 구매자(바이어)의 경우 유럽 및 미주권 주요 백화점, 편집숍 바이어 유치를 대폭 강화했으며, 영국 브라운스패션(Browns Fashion), 영국 레이어스(LAYERS), 프랑스 프랭탕 (PRINTEMPS), 캐나다 홀트 렌프류 (Holt Renfrew), 이탈리아 투웬티포세븐(247) 등 해외 유수 백화점 및 편집숍 바이어들을 신규로 초청했다.
또 방문이 어려운 중화권 바이어 등을 대상으로 온라인 수주상담회도 병행하여 수주 활성화 효과를 극대화할 예정이다. 그밖에 서울시는 원활한 사전 매칭과 수주 상담을 위해 브랜드 소개 자료의 영문‧중문 번역을 지원하며, 상담 시 언어권별 통역 또한 지원한다.
특히 이번 트레이드쇼는 ‘지속가능성’의 화두를 담아 지난 추계 행사 때 사용한 친환경 원목 부스를 이번에 재사용하는 등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실천에도 앞장서 눈길을 끌고 있다.
패션뿐만 아니라, 제품 패키지와 소품디자인 개발에 이르는 다양한 협업의 기회를 확인할 수 있는 기업 X 디자이너 개방형 협업을 위한 “밋업(Meet-Up)”도 열려 6개 기업이 참관하는 가운데 브랜드별로 디자이너가 협업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지난 추계 트레이드쇼에 이어, 이번 서울패션위크에 참여하는 노디코마, 메종니카, 방떼, 비욘드클로젯, 석운윤, 아이스가든에이오공팔, 혜영킴 7개의 디자이너 브랜드와 블루샥, 화승케미칼, 숲 by 한진, 아리에블랙, 정식품, 대선주조 6개의 기업과의 협업을 제안하는 자리를 17일(금) 15시에 진행한다.
서울패션위크 기간 동안 DDP로 집결하는 패션피플을 위한 다양한 참여 프로그램도 운영된다. DDP 어울림 광장에서는 패션 인플루언서가 함께하는 라이브 스튜디오와 시민들이 패션쇼 런웨이를 간접적으로 경험해 볼 수 있는 인공지능 음성인식(AI) 포토존 등 패션과 혁신기술이 결합된 다양한 시민체험부스를 ‘케이(K)-패션 스트릿’으로 조성하여 운영할 예정이다.
패션에 대한 모든 것을 공유하는 라이브스튜디오에서는 옆집언니최실장, 혜인, 친절한 수경씨 등 파워크리에이터들이 진행하는 패션스타일링 토크쇼(3.15~3.18) 가 진행되며, 크리에이터라면 누구나 사전신청을 통해 자유롭게 참가할 수 있다.
라이브스튜디오 오픈행사로 옆집언니최실장이 3월 15일 오후 1시 30분부터 인스타 라이브방송을 진행할 예정이며, 오신환 서울시 정무부시장이 참석하여 서울패션위크를 소개하는 시간을 갖는다.
3월 15일부터 18일까지 오후 3시부터 파워크리에이터인 옆집언니최실장, 혜인, 친절한 수경씨가 진행하는 패션스타일링 토크쇼에는 곽현주컬렉션, 비엘알블러, 두칸, 메트로시티 등 패션위크에 참여하는 디자이너들의 인터뷰가 진행되며, 내부조망이 가능해 어울림광장을 찾는 시민들이 콘텐츠 제작현장을 직접 관람할 수 있다.
패션쇼 런웨리를 경험해보고, 기념사진을 남길 수 있는 ‘셀프 포토존’도 운영한다. 서울패션위크 공식 런웨이 포토룸은 셀프포토스튜디오 업체 ‘씨익’과 함께 기획해 패션위크 기간 어울림광장에 방문한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이외에도 무신사, 메르세데스벤츠, 메트로시티, 캐치패션, 비커스 총 5개 브랜드의 패션과 첨단기술이 결합된 개별 부스들을 통해 색다른 경험과 재미를 제공할 예정이다.
먼저 ▲스트릿패션 대표 브랜드 무신사관에서는 23 S/S 프레젠테이션 그래픽월 및 360도 포토 쇼룸을 만나볼 수 있다. ▲메르세데스 벤츠관에서는 루이비통 전속 디자이너로 활약했던 故 버질 아블로의 유작 쇼카 ‘프로젝트 마이바흐’가 국내 최초로 공개되며 다양한 패션 아이템, 미디어아트도 선보일 예정이다.
▲메트로시티관에서는 미러 프레임을 활용한 메트로시티의 5원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캐치패션은 창의적인 차세대 아티스트를 소개하는 매거진 컨셉의 뉴스 스탠드를 전시하며, 마지막으로 ▲비커스는 패션 메타버스 부스를 기획해 현장 방문객들이 메타버스 안에서 패션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 서울패션위크에서 패션쇼를 펼치는 곽현주컬렉션, 오디너리피플, 얼킨, 그리디어스, 므:아므, 홀리넘버세븐, 두칸, 라이 8개 브랜드의 의상을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CJ온스타일과 서울패션위크 온라인 기획전도 진행한다.
기획전을 통해 F/W 패션쇼에서 마음에 들었던 브랜드의 의상을 온라인에서 10% 할인된 금액으로 구매가 가능하다. 서울시와 CJ ENM 커머스 부문 앞으로 국내 패션디자이너들의 온라인 판로를 지원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협업할 계획이다.
기획전은 15일(수)부터 19일(일)까지 CJ온스타일 누리집(www.cjonstyle.com) 또는 앱스토어에서 ‘셀렙샵’ 앱(https://m.celepshop.com)을 다운받아 참여할 수 있다.
서울패션위크 및 트레이드쇼 세부 일정은 ‘서울패션위크’ 누리집(https://www.seoulfashionweek.org)과 ‘트레이드쇼’ 누리집(https://www.tradegns.c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태균 서울시 경제정책실장은 “서울패션위크는 대한민국의 패션산업을 선도하고, 국내외 패션산업의 교류와 발전에 기여하는 플랫폼으로 확고히 자리잡고 있다”며, “서울패션위크를 통해 국내 디자이너와 브랜드가 그들의 작품과 브랜드를 널리 알리고, K-패션의 경쟁력을 키우는 구심점으로 만들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상현 기자 tinnews@tinnews.co.kr <저작권자 ⓒ TIN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섬유패션산업 발전과 함께하는 경제전문 언론 TIN뉴스 구독신청 >
이 기사를 후원하고 싶습니다.독자님의 작은 응원이 큰 힘이 됩니다.후원금은 인터넷 신문사 'TIN뉴스' 발전에 쓰여집니다. ![]()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