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2월 10일부터 미국 수입품에 대한 표적 관세를 부과하고 구글을 포함한 여러 기업에 제재 가능성을 통보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수입품에 대한 10% 관세 부과를 선언하고, 시진핑 국가주석과의 대화할 의향이 없다는 발언 직후다.
중국의 보복 관세 조치에는 미국산 석탄과 LNG에 15%, 미국에서 중국으로 수출되는 원유, 농장 장비, 소수의 트럭과 엔진 세단에 10% 세금을 부과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아울러 중국의 반독점 규제 기관인 시장감독관리총국은 구글의 모기업 알파벳(Alphabet Inc.)을 반독점법 위반 혐의로 조사에 착수했다.
패션기업으로는 캘빈 클라인, 타미힐피거 등의 브랜드를 보유한 미국 패션기업 PVH corp, 미국 생명공학 기업 일루미나(Illumina Inc.)도 ‘신뢰할 수 없는 기관 목록’에 포함됐다.
PVH는 성명을 통해 중국 상무부 결정에 놀랬으며, 매우 실망했다면서 모든 관련 법률, 규정 및 표준을 엄격하게 준수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일루미나 역시 “오래 전부터 중국에 진출해서 모든 법률과 규정을 준수해왔다”고 반박했다. 이들 기업은 중국 관련 수입 또는 수출 활동 참여가 금지되고 중국에 대한 신규 투자도 할 수 없다.
영국 리서치 전문기업 Capital Economics는 중국의 추가 관세가 연간 약 200억 달러 규모의 수입품에 적용될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트럼프 관세가 발효된 4,500억 달러 규모의 중국 상품에 적용되는 수치다.
장웅순 기자 tinnews@tinnews.co.kr <저작권자 ⓒ TIN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섬유패션산업 발전과 함께하는 경제전문 언론 TIN뉴스 구독신청 >
이 기사를 후원하고 싶습니다.독자님의 작은 응원이 큰 힘이 됩니다.후원금은 인터넷 신문사 'TIN뉴스' 발전에 쓰여집니다. ![]()
댓글
|